핵심요약
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 캠프에서 활동했던 무속인 '건진법사'가 과거 사기 혐의로 실형을 선고 받고 복역했던 사실이 드러났습니다. 피해자에게 땅값을 부풀려 매각한 후 2억 4천만원의 차익을 챙기고, 거래가 정지된 수표를 사용했으며, 압류된 물품을 몰래 다른 곳으로 옮기는 등의 혐의로 징역 1년 4월을 선고 받았습니다. 재판부가 판결문에서 전 씨의 직업을 두고 '무속인'이라고 판단한 부분도 눈에 띕니다.
▶ 글 싣는 순서 |
①[단독]'이현동 무죄' 하나의 법원, 엇갈린 판결…수사 책임자 윤석열 ②이현동 무죄받은 'DJ비자금' 사건 무엇…文정부 적폐청산 일환 ③이현동, 검찰 수사 대상되자 건진법사와 재단 설립했나 ④[단독]윤석열 밀착수행 '건진 처남' 과거 주소지는 '일광사' ⑤[단독]尹캠프 활동 '건진법사' 사기죄 전력…여성 상대 2억 편취 |

하지만 전 씨는 실제로는 5천여평의 땅을 평당 2만원에 매입했다. 토지 구입 비용 총액을 1억 1천만원에 불과했던 것으로 차액 중 1천만원 중개자에게 일부 나눠준 뒤 총 2억 4천만원을 챙겼다.
또 2003년 6월에는 거래가 정지된 수표를 사용해, 해당 수표를 소유한 사람들이 돈을 받지 못하는 일도 벌어졌다. 피해액은 약 1100만원.
2003년 4월에는 전 씨가 의류업체를 경영하고 있었는데, 퇴직한 근로자 20명에게 임금 1천만원 가까운 금액을 주지 못하기도 했다.
이외에도 법원에서 압류당한 물품을 몰래 다른 창고로 옮기거나 부정한 당좌수표를 발행하고 물품을 가져가는 일도 있었다. 이에따라 전 씨는 2004년 사기 혐의와 부정수표단속법 위반, 근로기준법 위반, 공무상표시무효 등으로 재판에 넘겨졌고, 춘천지방법원 영월지원은 징역 1년 4월형을 선고했다.

이어 "전 씨는 피해자의 개인적인 사정을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주장하나 피해자는 당시 무속인이었던 피고인에게 상담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해서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"고 부연했다.
전 씨는 한국불교 일광조계종(일광종) 소속으로 알려졌다. 일광종은 대한불교조계종과 무관한 곳이며, 한국불교종단협의회 소속도 아니다. 2018년 충주에서 소방관대회의 안전을 기원하는 행사에서 소 가죽을 벗기는 행사를 벌였다고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.
전 씨는 윤 후보 캠프가 공식 가동되기 전부터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서 윤 후보를 위한 비공식 활동을 하기도 했고, 이 때문에 공식 캠프 일정팀과 마찰을 빚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.
일광종 창종자이자 전 씨의 스승으로 알려진 승려 '혜우' 원모 씨는 한 유튜브채널과의 인터뷰에서 "(윤 후보 아내) 김건희하고 걔(전 씨)는 서로 간에 그런 친밀감으로 알던 사이"라며 "그 보살(김건희)하고 나하고도 역시 그런 식"이라고 말한 바 있다. 윤 후보의 부인 김씨와 건진법사, 혜우 등의 모종의 인연에 의해 친분을 오랜 기간 유지했다는 발언으로 해석된다.
※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.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,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.
- 이메일 nocutnews@cbs.co.kr
- 카카오톡@노컷뉴스